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크랩] 약초 나무종류

♧** 자 료 모 음 **♧

by 청량고추 2013. 7. 1. 21:01

본문


 

약초연구가 전동명의 천연물질대사전(天然物質大辭典)
2009년 10월 19일 현재[483가지] 야생 산야초 및 동물, 광물 약이되는 재료들(가나다순)
(여러분을 사랑하는 "한국토종야생산야초연구소" 약사모 회장 및 약초연구가 전동명 제공 ; 홈 주소: http://jdm0777.com ; 한글 인터넷주소: 곰보배추)
빨리찾기 힌트: 위쪽 파일 옆에 편집을 마우스로 누르시고 이 페이지에서 찾기를 눌러 단어를 친후 검색을 하시면 신속히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한국토종야생산야초연구소>의 허락없이 개인까페 및 블로그등에 링크를 시커거나 무단으로 올리시면
법적 책임과 함께 불이익을 당할 수도 있습니다. 가능하면 링크는 홈전체를 까페 및 블로그 등에 올리실 수 있습니다. 이점 유념에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약초연구가 & 동아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마우스로 아래의 이름들을 클릭하시면
신속하게
<천연물질대사전(야생 산야초 및 동물, 광물 약이되는 재료들)>으로 이동되어
상세한 자료를 누구나 관람 및 참조할 수 있습니다.
이곳을 방문하시는 모든분들이 우리땅 및 우리 지구에 자라는 천연물질들과 함께 끝없이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1. 가래나무
    2. 가리비(밥조개)
    3. 가막살나무[협미, 예선, 계미, 설혜, 해아권두, 가막살나무 , 털가막살나무, 산가막살나무, 무점가막살나무]
    4. 가시박
    5. 가시오갈피
    6. 간수(노감)
    7. 간장
    8. 갈대
    9. 갈퀴덩굴
    10. 감나무
    11. 감수(개감수)
    12. 감자
    13. 감초
    14. 감태나무
    15. 갑오징어
    16. 갓(개채)
    17. 강아지풀
    18. 강활
    19. 강황
    20. 개(식견:食犬)
    21. 개다래[목천료(木天蓼), 천료(天蓼), 등천료(藤天蓼), 천료목(天蓼木), 함수등(含水藤), 갈조(葛棗), 갈조미후도(葛棗獼猴桃), 마조자(馬棗子)]
    22. 개똥쑥(잔잎쑥)
    23. 개망초
    24. 개머루덩굴
    25. 개별꽃(태자삼)
    26. 개사철쑥[청호(菁蒿), 초호(草蒿), 방궤(方潰), 호(蒿), 향호(香蒿), 긴(菣), 환호(犱蒿), 삼경초(三庚草), 야란호(野蘭蒿), 흑호(黑蒿), 백염량(白染良), 큰사철쑥, 큰꽃사철쑥
    27. 개조개
    28. 갯기름나물(식방풍)
    29. 갯더부살이[쑥더부사리, 사철쑥더부살이, 갯더부사리, 개더부사리, 초종용]
    30. 거머리(수질)
    31. 거지덩굴(오렴매)
    32. 겨우살이
    33. 경분
    34. 고구마
    35. 고래[기름고래, 멸치고래, 돌고래, 밍크고래, 귀신고래]
    36. 고로쇠
    37. 고만이(고마리)
    38. 고본
    39. 고사리삼
    40. 고삼(느삼)
    41. 고수풀
    42. 고욤나무
    43. 고추장
    44. 골담초
    45. 골쇄보
    46. 곰보배추
    47. 곰취나물
    48. 관동화
    49. 광나무(여정목)
    50. 광대나물
    51. 구기자
    52. 더기
    53. 구렁이
    54. 구룡목(귀룽나무)
    55. 구룡초(개구리자리)
    56. 구릿대(백지)
    57. 구실사리[지백(地柏), 이와쿠라마코케[イワクラマコケ: 일본], 바위바늘이끼[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구슬사리]
    58. 구절초
    59. 귤나무(밀감, 감귤)
    60. 금전초(긴병꽃풀)
    61. 까마중
    62. 까치수염
    63. 깨풀[철현(鐵莧), 인현(人莧), 해방함주(海蚌含珠), 촬두촬금주(撮斗撮金珠), 육합초(六合草), 반변주(半邊珠), 야황마(野黃麻), 옥완봉진주(玉碗捀眞珠), 분두초(糞斗草), 혈견수(血見愁), 봉안초(鳳眼草), 육초(肉草), 분수초(噴水草), 소이타초(小耳朶草), 대청초(大靑草), 묘안초(猫眼草), 현초(蜆草), 엽리장주(葉裏藏珠), 이질초(痢疾草), 야마초(野麻草), 방각초(蚌殼草), 철등완(鐵燈碗), 통통초(筒筒草), 칠잔등(七盞燈), 혈포대(血布袋), 포대구(布袋口), 피촬진주(皮撮珍珠), 진주초(珍珠草), 표리진주(瓢裏珍珠), 전라초(田螺草), 해저장진주(海低藏珍珠), 장주초(藏珠草), 야육마(野六麻), 야고마(野苦麻), 묘안채(猫眼菜), 촬두진주(撮斗珍珠), 형화충초(螢火蟲草), 야면화(野綿花), 한열초(寒熱草), 엽하쌍도(葉下雙桃), 엽리선도(葉裏仙桃), 금분두(金畚斗), 야락마(野絡麻), 노서이타초(老鼠耳朶草), 금반야현채(金盤野莧菜), 함주초(含珠草), 사관초(沙罐草), 등잔와(燈盞窩), 초방함주(草蚌含珠), 산황마(山黃麻), 마자초(麻子草), 들깨풀]
    64. 꼭두서니
    65. 꽃송이버섯
    66. 꽈리
    67. 꾸지뽕나무
    68. 꿀(봉밀)
    69. 꿀풀(하고초)
    70. 나도하수오
    71. 나문재
    72. 남가새
    73. 남천
    74. 냉이
    75. 냉초
    76. 노각나무
    77. 노간주나무
    78. 노나무
    79. 노루궁뎅이 버섯
    80. 노루발풀
    81. 노루오줌
    82. 노박덩굴
    83. 녹나무
    84. 녹두
    85. 녹용
    86. 뇌환
    87. 누로(뻐꾹채)
    88. 누룩[신곡, 약누룩, 육곡, 육신곡, 진곡, 신국]
    89. 누룩뱀(밀뱀)
    90. 누리장나무(취오동)
    91. 느릅나무
    92. 능구렁이
    93. 능이버섯
    94. 다래나무
    95. 다릅나무(조선괴)
    96. 닥나무(저실)
    97. 단식요법
    98. 단풍마
    99. 달래
    100. 달맞이꽃
    101. 달팽이
    102. 담쟁이덩굴
    103. 당귀
    104. 당근
    105. 대극
    106. 대나무
    107. 대청엽
    108. 대추
    109. 댕댕이덩굴(목방기)
    110. 더덕(야생)
    111. 도깨비바늘(귀침초)
    112. 도꼬마리(창이자)
    113. 도라지(야생)
    114. 도롱뇽
    115. 도토리
    116. 독말풀
    117. 독활
    118. 돌나물
    119. 돌단풍
    120. 돌외(칠엽담)  
    121. 동백나무
    122. 동백나무겨우살이
    123. 동의나물
    124. 동충하초(번데기)
    125. 돼지
    126. 돼지감자(뚱딴지)
    127. 된장
    128. 두릅
    129. 두충나무
    130. 둑새풀
    131. 둥굴레
    132. 들깨
    133. 등나무
    134. 딱지꽃
    135. 땃두릅나무(자인삼)  
    136. 띠(삐비,백모근)
    137. 라마(박주가리)
    138. 마(야생산마)[산약(山藥), 저갈(藷葛), 서예(薯預), 서여(薯蕷), 산우(山芋), 제서(諸署), 서예(署豫), 옥연(玉延), 수취(修脆), 아초(兒草), 저(藷), 산저(山藷), 연초(延草), 왕모(王茅), 서약(薯藥), 회산약(淮山藥), 사우(蛇芋), 야산두(野山豆), 산판출(山板朮), 백초(白苕), 구황강(九黃薑), 야백서(野白薯), 선자서(扇子薯), 불장서(佛掌薯), 백약자(白藥子), 당마, 참마]
    139. 마가목
    140. 마늘
    141. 마디풀
    142. 마삭줄
    143. 마타리(패장근)
    144. 마황[용사(龍沙), 비상(卑相), 비염(卑鹽), 구골(狗骨), 초마황(草麻黃), 화마황(華麻黃), 목적마황(木賊麻黃), 중마황(中麻黃), 왜마황(矮馬黃), 여강마황(麗江麻黃), 막과마황(膜果麻黃), 쌍수마황(雙穗麻黃)]
    145. 만병초
    146. 만삼
    147. 말(馬)
    148. 말굽버섯
    149. 말벌 무엇인가?
    150. 말벌집(노봉방)
    151. 맑은대쑥[암려, 암노, 암려초, 암려호, 엄려, 복려, 취호, 회호, 개제비쑥, 국화잎쑥, 개쑥]
    152. 매미허물(선퇴)
    153. 매발톱나무
    154. 매화나무(매실)
    155. 맥문동
    156. 머루덩굴
    157. 머위
    158. 먼지버섯
    159. 멀꿀
    160. 메타세쿼이어
    161. 명자나무
    162. 명태[동태, 북어, 황태, 노가리, 생태, 코다리]
    163. 모과
    164. 모란(목단)
    165. 모로헤이야
    166. 모시풀
    167. 목이버섯
    168. 목질진흙버섯(상황)
    169. 무(나복)
    170. 무궁화(흰색)
    171. 무릇(물굿)
    172. 무화과
    173. 무환자(無患子)나무
    174. 물뱀(수사, 무자치)
    175. 물쑥[누호(蔞蒿), 루(蔞), 홍진애(紅陳艾), 구(購), 상루(蔏蔞), 세이타카요모기(セイタカヨモギ), 타카요모기(タカヨモギ), 물쑥, 뿔쑥, 물가에서 나는 쑥]
    176. 물칭개나물
    177. 물푸레나무
    178. 미나리(수근)
    179. 민들레[포공영(蒲公英), 복공앵(僕公罌), 부공영(鳧公英), 포공초(蒲公草), 강누초(耩耨草), 복공영(僕公英), 지정(地丁), 금잠초(金簪草), 패패정채(孛孛丁菜), 황화묘(黃花苗), 황화랑(黃花郞), 발고영(鵓鴣英), 파파정(婆婆丁), 백고정(白鼓丁), 황화지정(黃花地丁), 포공정(蒲公丁), 이반초(耳瘢草), 구유초(狗乳草), 내즙초(奶汁草), 잔비추(殘飛墜), 황구두(黃狗頭), 복지오공(卜地蜈蚣), 귀등룡(鬼燈龍), 양내내초(羊奶奶초), 쌍영복지(雙英卜地), 황화초(黃花草), 고고정(古古丁), 모나복(茅蘿蔔), 황화삼칠(黃花三七), 앉은뱅이, 문들네, 안질방이, 문둘레, 두응구라채(豆應仇羅菜), 므은두레]
    180. 밀크시슬
    181. 바다뱀(해사)
    182. 바람하늘지기[일조표불초, 선추초, 아초]
    183. 바랭이
    184. 바이택스(황형자)
    185. 박하
    186. 반하(끼무릇)
    187. 밤나무  
    188. 배나무
    189. 배롱나무
    190. 배초향
    191. 배추
    192. 배풍등(백영)
    193. 백급
    194. 백령풀
    195. 백선[백선(白鮮), 백단(白膻), 백양선(白羊鮮), 금작아초(金雀兒椒), 지양단(地羊膻), 팔규우(八圭牛), 야화초(野花椒), 팔고우(八股牛), 봉황삼, 봉삼, 자래초, 검화, 백선피
    196. 백하수오[하수오(何首烏), 백수오(白首烏), 태산백수오)(泰山白首烏), 화상오(和尙烏), 대근우피소(大根牛皮消), 이엽우피소(耳葉牛皮消), 격산우피소(隔山牛皮消), 비래학(飛來鶴), 큰조롱, 은조롱, 백하오, 새박덩굴, 구진, 새박뿌리, 해숭애, 박죽뿌리, 곱뿌리, 씨조롱, 참새박죽이]
    197. 백화사설초(백운풀)
    198. 뱀딸기(사매)
    199. 뱀무[수양매(水楊梅), 지초(地椒), 두훈약(頭暈藥), 남포정(藍布正), 노변향(路邊香), 복지황(卜地黃), 봉황와(鳳凰窩), 환골단(換骨丹), 남포정(南布正), 수익모(水益母), 향계부(香鷄부), 노사소(老蛇騷), 노변황(路邊黃), 오골계(烏骨鷄), 일본수양매(日本水楊梅), 배암무, 큰뱀무 ]
    200. 뱀술(사주)
    201. 뱀종류
    202. 뱀허물[사태, 용자의, 사부, 용자단의, 궁피, 용피, 용단의, 사근, 사부, 사피, 용자피, 사태피, 사각, 사퇴, 용의, 청용의, 장충피, 백용의, 뱀껍질]
    203. 버드나무
    204. 번행초
    205. 범부채
    206. 벚나무
    207. 벽오동나무
    208. 별꽃
    209. 보리수나무
    210. 보릿잎
    211. 복령
    212. 복분자
    213. 복수초
    214. 복숭아(야생)
    215. 복어[하돈(河豚), 어위어(魚爲魚), 취두어(吹肚魚), 호이(鰗鮧), 적해(赤鮭), 패어(魚), 후이어(鯸鮧魚), 후태(鯸鮐), 해어(鮭魚), 호이어(鶘夷魚), 진어(嗔魚), 규어(䲅魚), 하돈어(河魨魚), 기포어(氣泡魚), 호이어(胡夷魚), 궁반동방돈(弓斑東方魨), 충문동방돈(蟲紋東方魨), 암색동방돈(暗色東方魨), 복지(伏只), 대모어, 복, 복쟁이, 강돈, 보가지, 복아지]
    216. 봄맞이
    217. 봉독(벌침)
    218. 봉선화(봉숭아)
    219. 부들레야(주약화)
    220. 부처손
    221. 분꽃
    222. 불개미[홍의(紅蟻), 흑마의(黑螞蟻), 흑의(黑蟻), 적의(赤蟻), 개미]
    223. 붉나무(오배자)
    224. 비단풀
    225. 비둘기[합(鴿), 발합(鵓鴿), 비노(飛奴), 원합(原鴿), 가합(家鴿), 암합(岩鴿), 선미합(扇尾鴿), 구흉합(球胸鴿), 류비합(瘤鼻鴿), 안경합(眼鏡鴿), 전서합(傳書鴿), 야합(野鴿), 백합(白鴿), 구(鳩), 양비둘기, 집비둘기, 축구, 뱀새]
    226. 비수리[야관문(夜關門), 병(荓), 마추(馬帚), 삼엽초(三葉草), 봉초(封草), 균관자(菌串子), 야계초(野鷄草), 백마편(白馬鞭), 조공편(趙公鞭), 야벽한초(野辟汗草), 철선팔초(鐵線八草), 사도퇴(蛇倒退), 사퇴초(蛇退草), 천리광(千里光), 호승익(胡蠅翼), 반천뇌(半天雷), 호리취(狐狸嘴), 황충관(蝗蟲串), 폐문초(閉門草), 암초(暗草), 공모초(公母草), 철마편(鐵馬鞭), 퇴소초(退燒草), 소종야관문(小種夜關門), 사탈각(蛇脫殼), 일지전(一枝箭), 일주향(一炷香), 호류관(胡流串), 천리급(千里及), 사과피(蛇垮皮), 봉교미(鳳交尾), 화식초(化食草), 백관문초(白關門草), 광문죽(光門竹), 야합초(夜合草), 삼엽공모초(三葉公母草), 철소파(鐵掃把), 음양초(陰陽草), 소엽미사시(小葉米篩柴), 대력왕(大力王), 관문초(關門草), 마미초(馬尾草), 야폐초(野閉草), 화어초(火魚草), 석청봉(石靑蓬), 창승익(蒼蠅翼), 천어관(穿魚串), 관어초(串魚草) , 황선등(黃鱔藤), 노강채(老糠菜)]
    227. 비쑥
    228. 비자나무
    229. 비파나무
    230. 빼빼목(신선목)
    231. 뽕나무(야생)
    232. 사상자
    233. 사위질빵(여위)
    234. 사철쑥
    235. 산골(자연동)
    236. 산국화(봉래화)
    237. 산더부살이(개종용)
    238. 산딸나무  
    239. 산목련
    240. 산뽕나무
    241. 산사(아가위)
    242. 산삼(천종 자연산)
    243. 산수유
    244. 산작약
    245. 산철쭉
    246. 산청목(벌나무)
    247. 산해박
    248. 산흰쑥[백호(白蒿), 번(蘩), 파호(皤蒿), 전호(田胡), 번모(蘩母), 방발(旁勃), 백애호(白艾蒿), 봉호(蓬蒿), 대자호(大籽蒿), 대두호(大头蒿), 하이이로요모기(ハイイロヨモギ), 힌쑥, 흰쑥, 흰개쑥, 산흰쑥]
    249. 살구나무(행인)
    250. 살모사[독사]
    251. 살모사독
    252. 삼백초
    253. 삼지구엽초(음양곽)
    254. 삽주[창출(蒼朮), 적출(赤朮), 백출(白朮), 마계(馬薊), 청출(靑朮), 선출(仙朮), 남창출(南蒼朮), 북창출(北蒼朮), 동창출(東蒼朮), 조선창출(朝鮮蒼朮), 전엽창출(全葉蒼朮), 적봉창출(赤峰蒼朮), 요동창출(遼東蒼朮), 산계(山薊, 양부계(楊枹薊), 출(朮), 산개(山芥), 천계(天薊), 산강(山薑), 걸력가(乞力伽), 산정(山精), 산연(山連), 동백출(冬白朮), 삽지]
    255. 삿갓나물
    256. 상동나무
    257. 상추
    258. 상황버섯
    259. 새삼(토사자)
    260. 생강
    261. 생강나무
    262. 석류
    263. 석산(꽃무릇)
    264. 석송
    265. 석이버섯
    266. 석잠풀
    267. 석창포(야생)
    268. 선인구(둥근선인장)
    269. 선인장
    270. 설탕  
    271. 센나(번사엽)
    272. 소경불알[오소리당삼(烏蘇里黨參), 소경불알더덕, 알더덕, 알만삼, 만삼아재비]
    273. 소귀나물(벗풀)
    274. 소나무 및 솔뿌리
    275. 소나무겨우살이
    276. 소리쟁이
    277. 속단
    278. 속새(목적)
    279. 송로버섯
    280. 송악(상춘등)
    281. 송이버섯
    282. 쇠뜨기(문형)
    283. 쇠무릎지기(우슬초)
    284. 쇠비름[마치현(馬齒莧), 마치초(馬齒草), 마현(馬莧), 오행초(五行草), 마치채(馬齒菜), 마치용아(馬齒龍芽), 오방초(五方草), 장명채(長命菜), 구두사자초(九頭獅子草), 산현(酸莧), 안락채(安樂菜), 과자채(瓜子菜), 장명현(長命莧), 장판두초(醬瓣豆草), 사초(蛇草), 산미채(酸味菜), 저모채(猪母菜), 사자초(獅子草), 지마채(地馬菜), 마사자채(馬蛇子菜), 마의채(螞蟻菜), 마답채(馬踏菜), 장수채(長壽菜), 돼지풀]
    285. 쇄양[鎖陽, 쇄양(陽), 불로약(不老藥), 수철봉(銹鐵棒), 지모구(地毛球), 황골낭(黃骨狼), 쇄엄자(鎖嚴子), 양쇄불랍(羊不拉), 야이매타격(耶爾買他格: 위구르에서 부르는 이름), 오란-고아(烏蘭-告亞: 몽골에서 부르는 이름)]
    286. 수리취
    287. 수박
    288. 수세미오이
    289. 수송나물
    290. 수영
    291. 수정란풀
    292. 수총(큰고랭이)
    293. 수크령(지랑풀)
    294. 숙지황[숙지황(熟地黃), 숙지(熟地), 찐지황]
    295. 시계꽃
    296. 시로미(암고란)
    297. 신선목(빼빼목)
    298. 신선초
    299. 싸리나무
    300. 쐐기풀
    301. 쑥부장이
    302. 쓴풀(자주쓴풀)
    303. 씀바귀
    304. 아마
    305. 아출(봉아출)
    306. 아카시아나무
    307. 알달팽이(민달팽이)
    308. 알로에  
    309. 애기똥풀(백굴채)
    310. 애기풀(과자금)
    311. 야콘
    312. 양파
    313. 어성초
    314. 엄나무
    315. 엉겅퀴
    316. 여로
    317. 여주
    318. 연(연꽃)  
    319. 연삼
    320. 염주
    321. 영사(은주)
    322. 영지버섯(야생 적지)
    323. 영지버섯(편목영지)
    324. 예덕나무
    325. 오갈피(야생)
    326. 오구나무
    327. 오리
    328. 오리나무  
    329. 오미자
    330. 오배자
    331. 오이
    332. 오이풀
    333. 오징어
    334. 옥수수 수염
    335. 온천요법
    336. 옻나무
    337. 와송
    338. 왕고들빼기
    339. 왕과  
    340. 용담
    341. 우단담배풀
    342. 운지버섯
    343. 울금(鬱金)
    344. 원추리
    345. 위령선  
    346. 유기노(절국대)
    347. 유혈목이
    348. 유황(硫黃)
    349. 육종용[肉蓯蓉, 육송용(肉松蓉), 종용(縱蓉), 지정(地精), 금순(金筍), 대운(大芸), 미육종용(迷肉蓯蓉)]
    350. 율무
    351. 으름난초
    352. 으름덩굴
    353. 은방울꽃(영란)
    354. 은행
    355. 이질풀
    356. 익모초
    357. 인동덩굴(금은화)
    358. 인진쑥
    359. 일엽초
    360. 자귀나무(합환목)
    361. 자귀풀
    362. 자리공(상륙)   
    363. 자작나무
    364. 작두콩(흰색)
    365. 작약(메함박꽃)
    366. 잔나비걸상(매기생)
    367. 잔대
    368. 잣나무(잣)
    369. 장구채
    370. 적하수오[하수오(何首烏), 지정(地精), 야묘(野苗), 교경(交莖), 교등(交藤), 야합(夜合), 도유등(桃柳藤), 적렴(赤斂), 수오(首烏), 진지백(陳知白), 홍내소(紅內消), 마간석(馬肝石), 황화오근(黃花烏根), 소독근(小獨根), 적갈(赤葛), 구진등(九眞藤), 예초(芮草), 사초(蛇草), 신두초(伸頭草), 다화료(多花蓼), 자오등(紫烏藤), 야교등(夜交藤), 적하수오(赤何首烏), 붉은조롱, 수오등, 수오]
    371. 전나무
    372. 전복  
    373. 절굿대
    374. 접골목
    375. 접시꽃
    376. 젓가락나물(회회산)
    377. 제비꽃[지정(地丁), 전두초(箭頭草), 양각자(羊角子), 독행호(獨行虎), 지정초(地丁草), 여의초(如意草), 자화지정(紫花地丁), 이두초(犁頭草), 자지정(紫地丁), 토이초(兔耳草), 요근채(遼菫菜), 동북근채(東北菫菜), 오랑캐꽃, 장수꽃, 반지꽃, 병아리꽃, 올량합화(兀良哈花), 앉은뱅이꽃, 외나물꽃, 씨름꽃, 바이올렛(Violet: 미국명), 스미레(スミレ: 일본명), 미구대(米口袋), 소미구대(小米口袋), 대미구대(大米口袋), 다화미구대(多花米口袋), 모자운영(毛紫雲英), 정독초(疔毒草), 소정화(小丁花), 첨지정(甛地丁), 나복지정(蘿蔔地丁), 용담지정(龍膽地丁), 화남지정(華南地丁), 고지정(苦地丁), 화남용담(華南龍膽)]
    378. 제비쑥[모호(牡蒿), 울(蔚), 모긴(牡), 제두호(齊頭蒿), 수날채(水辣菜), 포채(布菜), 철채자(鐵菜子), 토시호(土柴胡), 후장초(掌草), 유뇨호(流尿蒿), 취애(臭艾), 완두청(碗頭靑), 유애(油艾), 유호(油蒿), 유봉(油蓬), 내감약(疳藥), 화애초(花艾草), 육월설(六月雪), 노아청(老鴉靑), 마연호(馬蓮蒿), 마근시(馬根柴), 아초약(鵝草藥), 각판호(脚板蒿), 우미호(牛尾蒿), 백화호(白花蒿), 웅장초(熊掌草), 제비쑥, 자불쑥, 가는제비쑥, 큰제비쑥]
    379. 조각자나무
    380. 조릿대
    381. 조뱅이[소계(小薊), 묘계(猫薊), 청침계(靑針薊), 천침초(千針草), 자계채(刺薊菜), 자아채(刺兒菜), 청청채(靑靑菜), 루루채(蔞蔞菜), 창도채(槍刀菜), 야홍화(野紅花), 자각채(刺角菜), 목자애(木刺家艾), 자간채(刺桿菜), 자자아(刺刺芽), 자살초(刺殺草), 제제모(薺薺毛), 소악계파(小惡鷄婆), 자라복(刺蘿蔔), 소계모(小薊姆), 자아초(刺兒草), 우착자(牛刺), 자첨두초(刺尖頭草), 조뱅이풀, 조병이, 자리귀, 소계(小薊), 조방거색(曹方居塞), 조방이, 조바리, 자라귀]
    382. 족두리풀[세신(細辛): 소신(小辛), 세초(細草), 소신(少辛), 독엽초(獨葉草), 금분초(金盆草)], 요세신(遼細辛), 화세신(華細辛), 서세신(西細辛), 북세신(北細辛), 산인삼(山人蔘), 백세신(白細辛), 만병초(萬病草), 세삼(細參), 연대과화(煙袋鍋火), 동북세신(東北細辛), 토세신(土細辛), 두형:杜衡(Asarum forbesii Maxim.), 마신:馬辛, 대화세신:大花細辛(A. maximum Hemsl.), 화검세신:花臉細辛, 화엽세신:花葉細辛(A. geophilum Hemsl.), 원엽세신:圓葉細辛(A. caudigerum Hance), 분초세신:盆草細辛(A. himalaicum Hook fet Thoms.), 모세신:毛細辛, 쌍엽세신:雙葉細辛(A. caulescens Maxim.), 장화세신:長花細辛(A. longiflorum C. Y. Cheng et C. S. Yang), 황세신:黃細辛, 자고엽세신:茨菇葉細辛(A. insigne Diels), 초엽세신:苕葉細辛, 금이환:金耳環(A. longipedunculatum O. C. Schmidt):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족도리풀, 만병초, 놋동이풀, 자주족두리풀]
    383. 좁쌀풀
    384. 종려나무  
    385. 주목
    386. 주사
    387. 죽봉령
    388. 줄풀(고장초, 고겡)
    389. 중머리풀(아불식초)
    390. 쥐눈이콩(서목태)
    391. 지네
    392. 지렁이(구인)  
    393. 지사라(우산이끼)
    394. 지치(자초)
    395. 지황[건지황(乾地黃), 지수(地髓), 건생지(乾生地), 하(芐), 기(芑), 우내자(牛奶子), 파파내(婆婆奶), 구내자(狗奶子), 산연(山烟), 산백채(山白菜), 주호화(酒壺花), 첨주과(甛酒棵), 밀관과(蜜罐棵)]
    396. 진달래(영산홍)  
    397. 진득찰(희렴초)
    398. 진주초(여우구슬)
    399. 질경이
    400. 짚신나물[선학초(仙鶴草), 용아초(龍牙草), 시주용아초(施州龍牙草), 과향초(瓜香草), 황용미(黃龍尾), 철호봉(鐵胡蜂), 금정룡아(金頂龍牙), 노관취(老鸛嘴), 자모초(子母草), 모각인(毛脚茵), 황용아(黃龍牙), 초용아(草龍芽), 지초(地椒), 황화초(黃花草), 사흘탑(蛇疙瘩), 용두초(龍頭草), 촌팔절(寸八節), 과노황(過路黃), 모각계(毛脚鷄), 걸리화(杰里花), 선마자화(線마子花), 탈력초(脫力草), 도구약(刀口藥), 대모약(大毛藥), 지선초(地仙草), 사도퇴(蛇倒退), 노변계(路邊鷄), 모장군(毛將軍), 계조사(鷄爪沙), 노변황(路邊黃), 오제풍(五蹄風), 우두초(牛頭草), 사리초(瀉痢초), 황화자(黃花仔), 이풍경초)(異風頸草), 자불리모(子不離母), 부자초(父子草), 모계초(毛鷄草), 군란패독초(群蘭敗毒草), 낭아초(狼牙草)]
    401. 찔레버섯
    402. 찔레뿌리
    403. 차가버섯
    404. 차조기(자소)
    405. 차풀
    406. 참가시나무
    407. 참깨
    408. 참나무
    409. 참나물
    410. 참취
    411. 창포(백창)  
    412. 천궁
    413. 천남성
    414. 천마
    415. 천문동
    416. 천사의 나팔꽃  
    417. 철쭉
    418. 청가시덩굴(청가시나무)
    419. 청개구리
    420. 청국장
    421. 청대(쪽)
    422. 청미래덩굴(명감나무)
    423. 초석잠
    424. 초오(바꽃)
    425. 초종용[草蓯蓉, 오리나무더부살이, 오리나무더부사리, 오니쿠(オニク), 키무라타케(キムラタケ)]
    426. 초피나무
    427. 춘란(보춘화)
    428. 측백나무
    429. 층층나무
    430. 칠면초
    431. 칠해목
    432. 캐모마일
    433. 커피나무(coffee)
    434. 코브라(안경뱀)
    435. 코스모스
    436. 콩(모든콩)
    437. 크레숑(물냉이)
    438. 탱자
    439. 털머위
    440. 톱풀
    441. 통탈목(통초)
    442. 팥(소적두)
    443. 패랭이꽃
    444. 포도
    445. 프로폴리스(벌풀)
    446. 피나무
    447. 피라칸다(착엽화극)
    448. 피마자(아주까리)
    449. 하늘타리
    450. 한련초
    451. 할미꽃(백두옹)
    452. 함박꽃(참작약)  
    453. 함초
    454. 해국
    455. 해바라기
    456. 해삼[자삼(刺蔘), 사손(沙噀), 해서(海鼠), 해남자(海南子), 토육(土肉), 흑충(黑蟲), 홍삼, 목삼]
    457. 향유(노야기)
    458. 헛깨나무
    459. 호두
    460. 호랑가시나무
    461. 호박
    462. 홍경천
    463. 홍자단(수련사)
    464. 홍합
    465. 홍화(잇꽃)
    466. 화살나무
    467. 환삼덩굴
    468. 황금(Gold)
    469. 황기(단너삼)
    470. 황대두(누런콩)
    471. 황련
    472. 황백(황경피나무)
    473. 황소개구리
    474. 황칠나무
    475. 황토
    476. 회향
    477. 회화나무
    478. 후박   
    479. 흑대두(검은콩)
    480. 흰독말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갑니다.

출처 : blusea201
글쓴이 : 백운 원글보기
메모 :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